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년 2회 수질환경기사 실기 문제 유형(복원)

by 모두다잘알 2024. 7. 30.
반응형

기억력의 한계가 있는지라 비슷한 유형의  필기, 실기 기출문제를 찾아서 올려 봅니다.

실제 출제된 문제 내용과 답이 다르고, 순서도 뒤죽박죽입니다.

그리고 저는 수질환경기사와 수질환경산업기사 두 시험을 하루에 봤기 때문에 기억이 뒤죽박죽일 수도 있고요...

 

1. 공장에서 배출되는 pH 2.5인 산성폐수 500m3/day를 인접 공장 폐수와 혼합 처리하고자 한다. 인접 공장 폐수 유량은 10,000 m3/day이고, pH는 6.5이다. 두 폐수를 혼합한 후의 pH는? (2019년 1회 수질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

정답 : 3.82

 

2. 수평부설한 직경 300mm, 길이 3,000m의 주철관에 8,640 m3/day로 송수 시 관로 끝에서의 손실수두(m)는?

(단, 마찰계수(f) = 0.03, g = 9.8m/s2, 마찰손실만 고려) (2020년 3회 수질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

답 : 약 30.6

 

3. Phostrip 공법의 원리와 장점 2가지, 단점 2가지

 

4. Jar Test의 목적 3가지

 

5. 생물막법의 공통적인 단점 3가지

 

6. 적정 문제

 

7. Ca(OH)2 용액 100mL를 0.01N H2SO4 40.4mL로 적정하여 중화점에 이르렀을 때 이 용액의 경도(mg/L as CaCO3)를 구하시오.  (2022년 3회 수질환경기사 실기 기출문제)

답 : 202mg/L as CaCO3

 

8. 박테리아 원소 분석하니 C : ?%, H : ?%, O : ?%, N : ?%이다. 화학식 유도하라.

답 : C5H7O2N

 

9. MBR 공법의 장점 2가지

 

10. 펌프의 공동 현상, 수격 현상의 원인 및 방지대책 2가지씩

 

11. 완전혼합반응기 체류시간, 압출형반응기 체류시간

 

12. 침전 공정과 여과 공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

 

13. 호흡률(mg/L.day), 광합성률 (mg/L.day)

      암병과 명병의 DO를 측정하니 ?mg/L, ? mg/L 였다. 그 후 4시간 후에  다시 측정하니 ? mg/L, ? mg/L 였다.

 

14. 면적이 ? m2, 깊이가  ? m 인 호수에서 유입량과 유출량이 ? m3/day 로 서로 같다. 한 오염물질이 공장에서 ? g/L.day, 강우에서 ? mg/L.day 유입되고, 유입수에 오염물질 농도가 ?mg/L 라면, 정상상태에서 오염물질의 농도는?

 

15. (2021년 3회 수질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 폐수의 BOD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자료를 얻었다. 이 폐수의 BOD(mg/L)는?

BOD병의 부피는 300mL이고 BOD병에 주입된 폐수량은 5mL,희석된 식종액의 배양전 및 배양후의 DO는 각각 7.6mg/L, 7.0mg/L,희석한 시료용액을 15분간 방치한 후 DO 및 5일간 배양한 다음의 희석한 시료용액의 DO는 각각 7.6mg/L, 4.0mg/L이었다.(단, f=1.0)

정답 : 180

 

16. 질소 처리에 필요한 산소량? (TKN, 아질산성 질소, 질산성 질소, 암모니아성 질소 부하량 조건으로 주어짐)

 

17. 부상조에서 기고비를 ? 으로 하기 위한 반송율을 구하라?

 

18. (2011년 2회 수질환경기사 실기 기출문제)수처리시설의 운영조건이 아래와 같을 때 다음을 구하시오.

폐수온도 = 20℃, 포기조 유입유량 = 0.32 m3/sec, MLVSS = 2,400 mg/L, 원폐수 BOD5 = 240 mg/L, 원폐수 TSS = 280 mL, 유출수 BOD5 = 5.7 mg/L, BOD5/BODu = 0.67, 포기조 유입수 BOD5 = 161.5 mg/L, VSS/TSS = 0.8, Kd = 0.06/day, Y = 0.5mg VSS/mg BOD5, SRT = 10 day

(1) 포기조 부피(m3) = 5,608.8 m3

(2) 포기조 체류시간(HRT, hr) = 4.87 hr

(3) 포기조 폭(m) 및 길이(m)의 규격 ( 폭:길이 = 1:2, 깊이 4.4m)

폭 = 25.25 m, 길이 = 50.49 m

 

 

반응형